본문 바로가기
일에 대한 생각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의 분류 기준

by 노라죠 세일즈맨 2023. 12. 15.
728x90
반응형

일을 하다보면 특히 입찰과 관련 업무 진행시 입찰 기준이나 투찰 가산점 산전기준을 보다 보면 개인적으로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기준이 궁금할 때가 있다. 그래서 오늘은 그 분류 기준에 대해서 찾아 보았다. 

1. 중소기업

중소기업기본법에 해당하는 기업을 말하며 중소기업은 우리나라 기업의 99.8%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 형태로 대기업 중견기업의 기준에 포함하지 않는 기업을 중소기업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종업원 5인 이하인 영세기업을 제외, 3년 평균 매출액이 1,500억 미만, 자산이 5,000억 이하인 기업을 말함

중소기업확인서 : 중소기업청에서 발급하는 문서로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여부 확인서를 말함. 

2. 중견기업

중견기업은 자산의 규모가 5천억 이상 10조원 미민인 기업으로 우리나라 기업중 0.12%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대기업에는 못 미치나 중소기업보다는 우수한 기업을 말함. 

대부분의 나라의 경우 대기업과 중소기업으로 나누지만, 한국과 일본만이 중견기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2010년 중견기업이라는 용어가 생겼고, 2014년 1월에 중견기업 성장 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음.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이 되면 세액 공제 및 감면 인력 공급, 정책 자금 등 160여 종의 혜택이 사라지게 되고, 30여 개의 새로운 세금 납부 의무가 생김. (대기업에서 인수합병 되는 것이 꼭 좋은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2. 대기업

 국내 대기업은 약 60개 정도이며 대기업 계열사를 포함하면 약 2,000개 정도가 되며 공기업의 경우 2016년 10부로 대기업 분류에서 제외되었음 

 

이상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 분류기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일에 대한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S 물류 알바 체험 후기  (0) 2024.04.09
2024년을 새로운 목표  (2) 2024.01.01
대표 기술자들  (1) 2023.12.28
개성이 돈 벌어주는 시대  (3) 2023.12.05
다시 사회 초년생으로 돌아간다면 ...  (0) 2020.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