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 궁금한 것

헷갈리는 한국어 동사: '끊다', '끈다', '끓다', '끌다' 완벽 가이드!

노라죠 세일즈맨 2025. 6. 26. 16:11
728x90
반응형

한국어를 공부하시는 많은 분들이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동사들이 있습니다. 바로 '끊다', '끈다', '끓다', 그리고 **'끌다'**인데요. 이 네 단어는 소리는 비슷하지만 각각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오늘은 이 네 동사의 정확한 의미를 한국어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동사가 활용된 영어 예시들을 풍부하게 들어드릴게요!


 

1. 끊다 (kkeunta): 연결을 단절하거나 중단하는 동사

**'끊다'**는 무언가 이어져 있던 것을 자르거나 중단시킬 때 사용하는 동사입니다. 물리적인 연결뿐만 아니라 관계, 습관 등 추상적인 것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물리적 연결을 단절할 때:
    • Example: The phone disconnected in the middle of our conversation. (전화 연결이 종료될 때)
    • Example: My pencil lead broke. (연필심이 부러져서 더 이상 쓸 수 없을 때)
  • 습관이나 지속적인 행동을 중단할 때:
    • Example: I'm trying hard to quit smoking this New Year. (담배 피우는 습관을 그만둘 때)
    • Example: My stomach felt better after I stopped eating spicy food. (매운 음식을 먹는 것을 중단할 때)
  • 인간관계나 약속을 단절할 때:
    • Example: I cut ties with that friend now. (사람과의 관계를 단절할 때)
    • Example: You shouldn't just break promises. (약속을 어기거나 취소할 때)
  • 교통편을 예매하거나 구매할 때: (조금 독특한 용례로, '표를 구매하여 더 이상의 과정이 없어진다'는 느낌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Example: I already booked the train ticket to Busan for tomorrow. (기차표를 예매하거나 구매할 때)

2. 끈다 (kkeunda): 작동을 멈추게 하는 동사

**'끈다'**는 동사 '끄다'의 현재형 활용입니다. 주로 불, 전기, 기계 등의 작동을 멈추게 할 때 사용하며, 빚을 갚는다는 의미로도 쓰입니다.

  • 불이나 빛을 사라지게 할 때:
    • Example: I always turn off the lights in my room before sleeping. (전등을 끌 때)
    • Example: I blew hard and extinguished the candle. (촛불을 불어서 끌 때)
  • 전자제품이나 기계의 전원을 차단할 때:
    • Example: Don't use the computer until late; turn it off now. (컴퓨터 전원을 종료할 때)
    • Example: When you go out, don't forget to turn off the gas stove. (가스레인지 작동을 멈출 때)
  • 빚이나 외상을 갚을 때:
    • Example: I'll pay back my outstanding credit when I get my salary. (외상값을 갚을 때)
  • 숨을 참을 때:
    • Example: I endured the pain and held my breath. (숨을 참고 내쉬지 않을 때)

3. 끓다 (kkeulta): 액체가 뜨거워지거나 감정이 격해지는 동사

**'끓다'**는 액체가 뜨거워져 거품이 일어나는 현상이나, 감정이 격렬하게 일어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시끄럽고 활기찬 분위기를 묘사할 때도 사용됩니다.

  • 액체가 가열되어 끓는 상태를 나타낼 때:
    • Example: When the water boils, add the ramen noodles. (물이 끓는점에 도달하여 끓을 때)
    • Example: The stew is boiling deliciously (with a simmering sound). (찌개 국물이 끓는 상태)
  • 감정이나 분위기가 격해질 때:
    • Example: Seeing the injustice made my anger boil over. (화가 매우 심하게 날 때)
    • Example: The stadium atmosphere heated up with passionate cheering. (경기장 분위기가 매우 뜨겁고 열정적일 때)
  • 사람들이 웅성거리거나 북적거릴 때:
    • Example: The market is teeming with people, no space to step. (시장이 매우 활기차고 북적거릴 때)

4. 끌다 (kkeulda): 당기거나,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이끄는 동사

**'끌다'**는 주로 무언가를 당기거나, 시간을 지연시키거나, 어떤 상태로 이끄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무언가를 당기거나 이동시킬 때:
    • Example: I dragged the heavy luggage with difficulty. (짐을 당기거나 질질 끌어서 이동시킬 때)
    • Example: The kids pulled their sleds and played happily. (썰매를 당길 때)
  • 시간이나 상황을 지연시킬 때:
    • Example: Don't intentionally drag out the time; decide quickly. (시간을 일부러 지연시킬 때)
    • Example: The meeting dragged on for too long, so it was boring. (회의 시간이 길게 이어질 때)
  • 관심이나 시선을 사로잡을 때:
    • Example: She attracted people's attention with her unusual outfit. (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킬 때)
    • Example: The new advertisement was enough to draw consumers' interest. (소비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때)
  • 어떤 상태나 상황으로 이끌 때:
    • Example: I let my cold drag on for too long. (감기가 오래 지속되도록 놔둘 때)
728x90
반응형